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흐림강릉 11.3℃
  • 흐림서울 8.5℃
  • 대전 8.0℃
  • 박무대구 6.7℃
  • 연무울산 9.9℃
  • 흐림광주 9.4℃
  • 연무부산 12.0℃
  • 흐림고창 8.9℃
  • 흐림제주 12.0℃
  • 흐림강화 6.5℃
  • 흐림보은 6.5℃
  • 흐림금산 7.3℃
  • 구름조금강진군 10.0℃
  • 구름조금경주시 5.8℃
  • 구름조금거제 13.3℃
기상청 제공

건강/보건

서울시, 2025년 상반기 동행일자리 6,598명 선발… 기준 완화

사회안전, 돌봄건강, 디지털, 기후환경, 경제 등 시·구 729개 사업서 일자리 안전망 구축

 

“스마트폰 사용이 어려운 어르신께 기본 기능을 알려드리면 손을 꼭 잡고 ‘고맙다’고 하십니다. 저 역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에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디지털 약자 지원 일자리 참여자 A씨의 말처럼, 취업 취약계층이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돕는 서울시 ‘동행일자리’ 사업이 내년 상반기에도 확대 운영된다.

 

서울시는 2025년 상반기 ‘동행일자리’ 사업을 통해 총 6,598명이 사회안전·돌봄건강·디지털·기후환경·경제 등 5개 분야, 729개 사업 현장에서 활동하게 된다고 24일 밝혔다.

 

■ “약자와의 동행” 실천하는 공공 일자리… 참여 기준 확대

‘서울 동행일자리’는 실업자 등 취업 취약계층이 사회적 약자를 돕도록 설계된 공공형 일자리 사업으로, 서울시의 핵심 시정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을 실천하는 대표 정책이다.

 

내년부터는 더 많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중위소득 기준이 80% → 85% 이하로 완화됐으며, 생계·실업급여 수급자, 대학(원) 재학생에 대한 참여 제한도 폐지됐다.
다만 생계·실업급여 수급자는 취업·소득 신고 의무를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 상반기 선발 인원 6,598명… 5대 분야 맞춤형 지원

● 분야별 선발 규모

  • 사회안전 약자 지원: 2,275명(246개 사업)

  • 돌봄·건강 약자 지원: 875명(155개 사업)

  • 디지털 약자 지원: 691명(51개 사업)

  • 기후환경 약자 지원: 2,274명(199개 사업)

  • 경제 약자 지원: 483명(78개 사업)

각 분야는 서울 곳곳에서 다양한 사회적 약자를 돕는 실질적인 현장 지원 업무로 구성됐다.

 

■ ❶ 사회안전 약자 지원

  • 저층 주거취약지역 노인·장애인을 돕는 ‘모아센터(마을관리사무소) 운영’(80명)

  • 학교 주변·교통 혼잡지역에서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197명) 활동

 

■ ❷ 돌봄·건강 약자 지원

  •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이용하는 복지문화공간 ‘어울림플라자 동행안전지원’(20명)

  • 저소득 어르신 무료 급식지원(180명) 등 영양·건강 돌봄 서비스

 

■ ❸ 디지털 약자 지원

  • 어르신을 직접 찾아가 스마트폰 등을 안내하는 디지털안내사(124명)

  • 도서관 정보화 사업, 디지털책 코디네이터 등 전자정보 서비스 지원(76명)

 

■ ❹ 기후환경 약자 지원

  • 에너지 취약계층 주택 단열 시공을 지원하는 에너지 서울동행단(30명)

  • 폐기물 분리·환경정비로 고령자·아동 등에게 청결한 생활환경 제공(145명)

 

■ ❺ 경제 약자 지원

  • 위기가구 건강관리·주거개선을 지원하는 ‘위기가구 돌봄단’(45명)

  • 기부 식품을 취약계층에 제공하는 푸드뱅크마켓 운영지원(19명)

 

■ 신청 방법 및 근무 조건

  • 신청 기간: ~12월 5일

  • 장소: 주소지 동주민센터 상담·접수

  • 대상: 18세 이상 서울시민

    • 중위소득 85% 이하

    • 재산 합산 4억 9,900만 원 이하

 

최종 선발자는 1일 6시간·주 5일 근무, **일급 약 6만 2,000원(세전)**으로 월 180만 원 내외의 급여를 받게 된다.
자세한 조건은 서울시 누리집·서울일자리포털에서 확인 가능하며, 자치구별 모집 마감일은 다를 수 있다.

 

■ 서울시 “취약계층 생계안정 + 지역사회 기여, 두 효과 기대”

서울시는 사업 현장 점검과 모니터링을 통해 운영의 내실을 다지고, 우수 사업은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고용 여건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동행일자리 사업이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 안정과 고용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취약계층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며 일할 수 있는 공공성 높은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서울 동행일자리는 단순한 공공근로를 넘어, **‘약자가 약자를 돕는 사회적 선순환 모델’**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다. 참여자와 지원 대상 모두에게 힘이 되는 정책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