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3 (목)

  • 흐림동두천 4.5℃
  • 맑음강릉 11.7℃
  • 구름많음서울 7.6℃
  • 박무대전 3.1℃
  • 구름많음대구 5.6℃
  • 구름많음울산 10.9℃
  • 구름조금광주 5.8℃
  • 구름많음부산 12.0℃
  • 맑음고창 3.1℃
  • 흐림제주 13.7℃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0.2℃
  • 맑음금산 0.5℃
  • 구름많음강진군 5.0℃
  • 흐림경주시 11.4℃
  • 구름많음거제 9.5℃
기상청 제공

문화/연예

‘2025 광주문화예술교육축제 아트날라리’, 11월 1일 개최…“10개 역에서 만나는 예술여행”

광주문화재단, 11월 1일 빛고을시민문화관 일원 제10회 아트날라리 개최

 

광주의 대표 문화예술교육 축제 **‘2025 광주문화예술교육축제 아트날라리’**가 오는 11월 1일(금)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빛고을시민문화관과 청춘빛포차광장 일원에서 열린다. 올해 10회를 맞은 이번 축제는 **‘출발! 아트날라리로~’**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10개의 역에서 만나는 문화예술여행’**을 주제로 시민과 함께 광주 문화예술교육의 10년 성과를 돌아보고 새로운 출발을 선언한다.

 

■ “예술시민의 도시, 광주가 함께 만든 10번째 여정”

‘아트날라리’는 “자유롭게 예술을 즐기는 우리들”이라는 뜻으로, 광주지역 문화예술교육 단체들이 주체가 되어 시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참여형 예술교육축제다. 지난 10년간 ‘예술시민이 되다’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세대와 세대를 잇는 배움과 나눔, 그리고 예술로 하나되는 광주의 정신을 이어왔다.

 

올해 축제는 10년의 발자취를 기념함과 동시에 새로운 문화예술교육의 출발점으로 자리할 전망이다.

 

■ 42개 단체 참여…‘10개 역에서 만나는 예술교육여행’

이번 축제에는 ▲예술시민문화예술교육 ▲창의예술학교 ▲생애전환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사 현장역량 강화사업 등 4개 분야, 42개 단체가 참여해 총 52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개막행사 ‘출발! 아트날라리로~’ ▲폐막행사 ‘모두의 식탁’ ▲10년 아카이빙 버스 ▲스탬프투어 ▲하루 예술학교 ▲날라리 드로잉존 등이 준비됐다.

 

공연 프로그램은 청춘빛포차광장 메인무대에서 열리며, 타악그룹 얼쑤의 ‘우리가 바라는 세상’을 시작으로 어린이부터 청년까지 다양한 세대가 참여한 10여 개 공연이 펼쳐진다.

 

빛고을시민문화관과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일대에서는 자연물 레진목걸이 만들기, 손수건 염색, 소책자(Zine) 제작, 영화배우 체험 등 35개 이상의 전시·체험 부스가 운영된다.

 

■ “시민이 예술여행자가 되는 날”

축제장은 ‘10개의 역’을 모티브로 구성돼, 시민이 ‘예술여행자’가 되어 각 공간을 순회하며 세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체험을 즐길 수 있다. 스탬프 투어를 완료하면 기념품도 받을 수 있다.

 

특히 ‘10년 아카이빙 버스’에서는 지난 10년간의 아트날라리 기록물을 전시하고, ‘날라리 드로잉존’에서는 시민이 직접 바닥에 그림을 그리며 자신의 ‘아트날라리’를 표현하는 대형 페인팅 퍼포먼스가 진행된다.

 

■ 개·폐막 행사로 ‘새로운 출발’ 상징

개막 퍼포먼스 ‘출발! 아트날라리로~’는 10개의 이야기 캐리어를 끌며 이동하는 행진으로 시작해, 참여 예술가와 시민이 함께 여행의 출발을 알린다.

 

폐막행사 ‘모두의 식탁’은 지난 10년간 축제를 함께한 문화예술교육 활동가 ‘십년지기’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참여 단체·예술가·대학생이 함께 음식을 나누며 예술시민으로서의 유대를 나누는 시간으로 꾸며진다.

 

■ RISE 사업 연계…청년이 주도하는 시민참여형 축제

올해 아트날라리는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사업과 연계해 광주여대, 조선대, 호남대 등 지역 대학생들이 직접 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참여한다.

 

광주여대는 **‘모두의 식탁’**과 **‘Fly to 날라리행’**을 통해 항공서비스학과 학생들이 시민과 함께 ‘기내 서비스 체험형 예술여행’을 진행한다. 조선대는 **‘하룰라라 게스트하우스’**를 통해 대학생이 직접 만든 ‘여행자 교류 공간’에서 공연·댄스파티 등을 운영한다. 호남대는 축제의 역사를 담은 **‘10회 기념 아카이빙존’**을 조성한다.

 

■ 지역기관 협력 확대…문화예술 네트워크 강화

올해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과학관, 인재평생교육진흥원, 광주시교육청,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등 15개 유관기관이 참여해 협력 부스를 운영한다.

 

국립광주과학관은 ‘루체리움 사이언스 스쿨’,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는 ‘찾아가는 미디어 나눔 버스’를 운영하며, 광주탈렌트페스티벌 우승팀 ‘illusion’의 축하공연도 예정돼 있다.

 

또한 광주문화재단은 ‘문화보둠xESGx책으로(路) 여행하자’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중고도서 1권을 기부하면 참여 가능한 ‘책 사줄게, 책 나눌게’ 캠페인과 부모-자녀 독서법 강연도 진행한다.

 

■ “10년의 예술발자취, 시민과 함께 나누는 축제”

배동환 광주문화재단 사무처장은 “아트날라리는 지난 10년간 광주 문화예술교육의 성과를 시민과 공유하는 자리”라며 “앞으로도 예술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예술시민의 도시 광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올해 아트날라리는 10년의 시간만큼 성숙해진 시민 참여형 예술축제다. 단순한 문화행사를 넘어, 광주의 모든 세대가 예술로 연결되는 **‘살아있는 예술교육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비즈데일리 장경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