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11월 24일 오전, 한국교회총연합·한국천주교주교회의·원불교·대한불교조계종 등 4대 종단 지도자들과 만나 정부와 종교계의 ‘상생협력 원탁회의 구성 협약’ 및 **‘생명존중·자살예방 협약’**을 체결했다.
■ 정부-종교계 첫 공동협약…“사회적 난제, 함께 해결”
이번 협약은 복잡한 사회 문제를 정부 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김 총리는 “국민의 마음을 돌보고, 삶의 현장을 지켜온 종교계의 지혜와 연대가 필요하다”며 협약의 취지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정부와 종교계는 사회적 난제에 대해 정기적인 원탁회의를 구성하고, 현안별로 국무총리가 직접 주재하는 협의체를 정례 운영하기로 했다.
첫 의제는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으로 정해졌다.
■ “생명존중 문화 확산·자살예방 정책 공동 추진”
정부와 종교계는 협약을 통해 △생명존중 문화 확산 △자살 고위험군 발굴 및 지원 △실질적 자살예방 정책 마련 등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김 총리는 “이번 협약은 단순한 선언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실질적인 협력 모델이 되어야 한다”며 “정부와 종교계가 함께 ‘생명 살림의 길’을 열어가자”고 강조했다.
■ 종단별 대표, “종교의 사회적 책임 다하겠다”
한국교회총연합 대표회장 김종혁 목사는 “인간의 생명은 그 어떤 가치로도 대체할 수 없다”며 “한국교회가 정부와 함께 생명존중 운동을 적극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이용훈 주교는 “절망 속에 있는 이들이 다시 삶의 희망을 찾을 수 있도록 현실적인 위로와 동반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원불교 교정원장 나상호 교무는 “종교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언제든 국가적 과제에 협력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총무부장 성웅스님은 “고통의 순간에도 국민이 혼자가 아님을 알 수 있도록, 생명을 지키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 “현장의 목소리로 정책 보완할 것”
정부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종교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 대화 채널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자살예방 및 심리회복 관련 협력사업을 구체화해, 국민의 마음 건강을 지키는 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정부와 종교계의 이번 협약은 행정과 신앙이 함께 ‘생명 존중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첫 걸음이다. 숫자 중심의 정책을 넘어, 마음을 돌보는 공동체적 접근이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