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오는 12월부터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그냥드림)’ 사업을 전국적으로 시행한다.
이는 생계가 어려운 국민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기본적인 먹거리와 생필품을 즉각 지원하기 위한 민관협력 복지모델이다.
■ “먹거리 지원으로 위기가구 발굴까지”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그냥드림)’는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국민이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방문만으로 먹거리와 생필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방문 시 1인당 3~5개의 식품 또는 생활필수품이 제공되며, **반복 방문이나 위기 징후가 발견될 경우 복지 전문팀(읍면동 맞춤형복지팀 등)**으로 연계해 신속한 지원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 사업은 코로나19 시기 큰 호응을 얻었던 서울 영등포구의 ‘0원마켓’, 경기의 ‘먹거리 그냥드림 코너’, 대구의 ‘키다리나눔점빵’ 등 지자체 선도 사례를 참고해 발전시킨 모델이다.
■ 민관이 함께 만드는 전국 단위 복지 네트워크
보건복지부는 11월 20일 오후 3시, 서울 중구 사회복지공동모금회관에서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 사회복지공동모금회(회장 김병준), **한국사회복지협의회(회장 김성이)**와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그냥드림)’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기업-공익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전국 규모의 복지 협업 체계를 구축한 첫 사례로, 2025년 12월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이다.
■ 역할 분담 및 예산 지원 체계
이번 협약에 따라 기관별 역할은 다음과 같다.
-
보건복지부 : 사업 총괄 및 제도 개선 추진
-
신한금융그룹 : 운영 예산 지원 (2025~2027년, 총 45억 원)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기부금 운용 및 사업 모니터링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사업수행기관 연계망 구축 및 홍보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 모델을 정착시키고, 기업의 기부문화 확산과 복지재원의 안정적 확보가 기대된다.
■ “복지 사각지대 없는 사회 안전망 만들 것”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서류 부담이나 사회적 편견 때문에 정부 지원을 받지 못하는 분들이 많다”며 “이번 사업은 부담 없이 먹거리를 지원받고, 위기 가구로 확인되면 지속적인 복지 서비스로 연계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관협력을 통해 더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기본적 생계 지원은 취약계층의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사회 안정의 핵심 과제”라며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해 실질적 지원이 가능한 체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냥드림’은 단순한 먹거리 나눔을 넘어, **위기 신호를 조기에 발견하고 연결하는 ‘선제형 복지 시스템’**으로 진화하고 있다. 민관이 함께 만든 이 모델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새로운 사회안전망의 표준으로 자리 잡을지 주목된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