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탄소소재 기술력과 해상풍력 산업을 결합한 ‘친환경 블레이드 산업 클러스터’ 구축에 나서며, 대한민국 해상풍력 생태계의 중심지로 도약할 발판을 마련했다.
■ 전북도, 해상풍력 블레이드 클러스터 조성 MOU 체결
전북특별자치도는 19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CARBON KOREA 2025’ 개막식에서 **해상풍력 블레이드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휴먼컴퍼지트 ▲신성소재 ▲삼우기업 ▲HS효성첨단소재 ▲도레이첨단소재 ▲국도화학 ▲한국재료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탄소나노산업협회 등 10개 기관·기업이 참여했다.
이들은 함께 ▲국산 블레이드 표준·공용화 모델 개발 ▲실증·양산 기반 공급망 인프라 구축 ▲배후항만 연계형 클러스터 조성 등 해상풍력 블레이드 산업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탄소복합소재 + 해상풍력 = 전북형 신재생에너지 생태계
해상풍력 블레이드는 풍력발전기의 핵심 부품으로, 바람의 힘을 받아 발전기의 회전력을 만드는 고성능 복합소재 날개다.
전북도는 블레이드 제작의 핵심인 탄소섬유 복합소재 기술력을 바탕으로, 전주의 탄소소재 국가산업단지와 군산의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연계해 **“탄소복합소재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산업벨트”**를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도 관계자는 “탄소복합소재는 해상풍력 블레이드의 경량화와 내구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만큼, 전북의 탄소산업 경쟁력이 곧 해상풍력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술 자립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 국내 최초 대형 인증 인프라도 구축
이번 클러스터에는 ▲초대형(20MW급) 블레이드 인증시험 인프라 ▲시제품 제작·품질 검증 시스템 ▲표준화·공용화 R&D 체계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전북도는 외국산 부품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 해상풍력 기술 자립을 앞당길 예정이다.
또한 군산항을 중심으로 한 배후항만 물류 인프라와 실증단지 구축으로, 생산-실증-수출이 이어지는 통합 공급망 구조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 “재생에너지 산업의 거점 전북”… 일자리 창출 효과 기대
김종훈 전북특별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지자체·기업·연구기관이 힘을 합쳐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인 블레이드 생태계를 조성하는 만큼, 전북이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것”이라며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 2030년까지 4GW 해상풍력단지 조성 목표
현재 전북도는 ▲고창·부안 해역에 14조7,000억 원을 투입해 2.46GW 규모의 서남권 해상풍력단지를, ▲군산 해역에는 1.8G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를 2030년 완공 목표로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전북은 국내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중심지이자, 탄소복합소재 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탄소산업의 ‘전북 DNA’가 해상풍력과 만나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 지형을 바꾸려 한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지역산업 육성을 넘어, ‘탄소소재–풍력–에너지’가 연결된 탄소중립 산업 생태계의 시작점으로 평가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