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 중인 ‘실노동시간 단축 로드맵’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노사정과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가 실제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유연근무제와 근로시간 단축의 현실적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 “현장 중심 노동시간 단축” 제5차 로드맵 추진단 회의 개최
‘실노동시간 단축 로드맵 추진단’은 11월 19일 서울 중구 알이엔에이(R.ENA) 컨벤션에서 제5차 회의 및 현장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주 ㈜태웅로직스 방문과 청년·육아기 노동자 의견 청취에 이어, **노사발전재단 주관 ‘제8차 일터혁신 사례공유 포럼’**과 연계해 기업 관계자들의 생생한 사례를 직접 듣기 위해 마련됐다.
■ 유연근무·격주 4일제 도입 등 기업별 혁신 사례 공유
이날 포럼에서는 실제 컨설팅을 받은 기업들이 유연근무 도입과 노동시간 단축 과정을 구체적으로 발표했다.
㈜동인광학 김석태 경영지원실 선임은 “일부 부서의 연장근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의무근로시간 10시~15시의 부분 선택근로제를 시범 운영한 뒤, 현재는 완전 선택적 근로시간제로 전환했다”며 “정부의 유연근무 지원금 제도와 연계해 체계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말했다.
컨설턴트 문하나 씨는 “유연근무제 정착의 핵심은 ‘구성원의 공감대 형성’”이라며 “도입 전 사전 설명회와 시범운영을 통해 직원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트리즈엔 **양성기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직원 만족도 향상과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격주 4일제’를 시범 도입했다”며 “임금 삭감 없이 A·B조로 교대해 운영,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했다”고 말했다.
컨설팅을 맡은 김철우 컨설턴트는 “노동시간 단축에 맞춰 간주근로제 확대, 보상휴가제 도입, 출장시간 관리 기준 개선 등 근무체계를 전면 개편했다”고 덧붙였다.
■ 노사·전문가 참여 토론… “제도 개선과 지원정책 병행 필요”
토론은 추진단 공동단장인 배규식 단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됐다.
노사 대표 위원 4명을 비롯한 전문가·정부 위원들이 참여해 기업의 근로시간 단축 경험, 제도 운영상의 어려움, 지원정책 필요성 등을 폭넓게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근로시간 단축은 단순한 제도 변경이 아니라 조직문화와 인식의 변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며 “중소기업이 제도를 안정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컨설팅과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 정부 “현장 중심 정책 마련해 실노동시간 단축 지원”
이현옥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은 “오늘 간담회는 노사 주도의 현장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법·제도 개선 방향과 정부 지원책을 함께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추진단은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정책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노동시간 단축은 단순히 근무시간을 줄이는 문제가 아니라 일의 효율성과 삶의 균형을 재설계하는 과정이다. 정부가 현장 중심의 협의 구조를 유지하며, 제도의 실질적 안착을 이끌어낸다면 이번 로드맵은 진정한 ‘워라밸 혁신’의 시작이 될 것이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