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구름많음강릉 11.5℃
  • 흐림서울 7.9℃
  • 대전 9.7℃
  • 구름조금대구 12.1℃
  • 맑음울산 12.5℃
  • 광주 8.9℃
  • 구름조금부산 12.6℃
  • 흐림고창 8.1℃
  • 제주 12.2℃
  • 구름많음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8.6℃
  • 흐림금산 8.9℃
  • 구름많음강진군 11.9℃
  • 구름조금경주시 12.3℃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생활

재외동포청, ‘중국 동포 인식 개선’ 정책 대화 개최…제도 개선 논의

제3차 국내 동포 정착 지원을 위한 정책 대화 개최

 

재외동포청이 24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채현일·이재강 국회의원과 함께 ‘국내 중국 동포들에 대한 인식 개선’을 주제로 정책 대화를 열었다. 이번 자리는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국내 중국 동포 및 관련 단체들과 공식적으로 만나는 자리로, 최근 불거진 혐중 시위와 허위 정보 확산 등 중국 동포를 둘러싼 부정적 인식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채현일 의원은 “국내 동포들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리고 다음 세대가 희망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은 국가적 책무”라며 환영사를 전했다. 이재강 의원도 “반중·혐중 시위 등 동포를 겨냥한 혐오 표현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제도와 인식 사이의 간극을 좁힐 필요성을 강조했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곽재석 한국이주동포정책연구원장은 중국 동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제도 개선이 필수라고 지적했다. 특히 재외동포청과 법무부로 나뉜 이원화된 정책 구조를 문제 삼으며, 정부 조직 체계 정비와 비자 제도 개선 등 실질적 변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어 박동찬 경계인의몫소리연구소장은 미디어에서 반복 소비되는 자극적 정보가 중국 동포 전체에 대한 부정적 편견을 강화하고, 결국 구조적 차별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 동포 인식 개선을 위해 정부·지자체·시민사회가 함께하는 민·관·학 협력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토론 시간에는 정책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졌다. 곽삼주 재외동포청 재외동포정책국 심의관은 “외국 국적 동포 역시 국내 동포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며, 국내·외 동포를 통합적 정책 대상으로 접근하는 방향을 제안했다. H-2와 F-4 비자 통합도 취업 제한 범위 등 일부 조율만 이루어지면 연내 발표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혐오 대응을 위한 정부·지자체의 제도 정비, 방송 캠페인 추진, 고려인·재일동포 등과의 협의체 구성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이 제시됐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동포를 경제적 관점의 외국인 노동자로만 바라본 시각이 문제의 뿌리”라고 진단하며, 정책 대상자로서의 인정과 문화적·정체성 기반 관점의 접근을 강조했다.

 

정책 대화를 마무리하며 김경협 청장은 “귀환 동포의 안정적 정착은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으며, 700만 재외동포 사회와 상생 발전의 출발점”이라며 “중국 동포를 비롯한 귀환 동포를 단순한 이주민이 아닌 공동체의 일원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갈등의 뿌리를 해결하기 위해선 제도 개선과 함께 사회 인식의 변화가 필수다. 동포를 ‘외국인’이 아닌 ‘함께 살아갈 이웃’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확산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