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키며, 인공지능(AI) 기반 행정혁신과 주민자치, 일상안전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체계를 본격화한다.
■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 공식 출범
행정안전부는 11월 24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 위촉식 및 첫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위원회는 2025년 11월부터 2026년 11월까지 1년간 활동하며, 행안부의 조직개편(11월 25일 시행 예정) 방향에 맞춰 총 10개 분과, 159명의 전문가로 구성됐다.
위원은 학계·연구기관·기업·시민사회 등 다양한 분야 인사로 꾸려져 정부 정책에 폭넓은 시각과 전문성을 제공할 예정이다.
■ 다양성과 청년 참여 강화…‘2030 자문단’도 포함
이번 기수의 가장 큰 변화는 구성의 다양성 확대다.
분과별 위원 수를 기존 20명에서 40명으로 늘리고, 민간기업과 시민사회 비중을 대폭 확대했다. 또한 **행안부 ‘2030 자문단’**을 겸임 위원으로 위촉해 청년 세대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자율적인 ‘소위 운영’을 통해 현장 중심, 신속 대응형 자문체계를 구축하며, 복수 분과가 연계되는 사안은 ‘특별위원회’에서 융합 논의가 이뤄진다.
■ 위원장에 김종걸 한양대 교수 선임
위원장에는 김종걸 한양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선출됐다.
김 위원장은 ‘지속가능경제’ 분야의 전문가로, 과거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사회인문연구회 기획예산위원(2014~2015),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정책심의위원(2016~2017) 등을 역임한 바 있다.
그는 이날 회의에서 “행정안전부가 미래 대응 역량(future literacy)을 확보하려면 ‘5년 전략’과 ‘1년 단위 성과지표’를 마련해 성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 “국민 안전과 행복을 위한 정책 조언 기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축사에서 “제8기 정책자문위원회는 각 분야의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행안부 정책 전반에 새로운 시각과 실질적 제안을 더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위원들의 의견을 적극 정책에 반영해 행안부가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는 행복안전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 출범은 단순한 자문 조직을 넘어, AI와 주민 중심 행정의 실질적 연결고리를 구축하려는 시도다. 민간과 청년의 참여 폭이 넓어진 만큼, ‘듣는 행정’의 실효성이 얼마나 발휘될지 주목된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