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무안군이 정부가 제시한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 중재안에 대해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김산 무안군수는 **11월 19일 서울에서 열린 4자 사전협의(주재: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에 참석한 뒤 “그동안 무안군이 요구해온 주요 조건 중 일부가 정부 중재안에 반영돼 실질적인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날 협의에는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함께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광주 민·군공항 통합 이전의 핵심 쟁점을 두고 폭넓은 의견 교환과 공감대 형성이 이뤄졌으며, 각 지자체는 민·군공항 이전의 절차적 정당성과 지역 상생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다.
김산 군수는 “무안군의 3대 요구사항 중 하나인 광주 민간공항의 선(先)이전과 광주시의 1조 원 규모 지원책 마련에 대해 의미 있는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다만, “무안군 발전과 연계된 국가산단 조성과 첨단산업 유치 등 국가 차원의 인센티브가 군민을 설득할 만큼 충분한 수준인지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신중한 입장도 덧붙였다.
무안군은 정부가 연내 완전 합의를 목표로 추진 중인 6자 TF회의에 적극 참여해, 무안군의 3대 요구사항이 명확히 반영되고 군민 보상 및 지역 미래 비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군은 부군수를 단장으로 하는 ‘공항 이전 대응 TF팀’을 확대 운영, 사회단체·전문가·언론·주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군민 공감대 형성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김산 군수는 “무안군은 이번 협의를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고, 군민의 이익과 지역 발전이 보장되는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공항 이전은 단순한 지역 행정 사안이 아니라 미래 성장의 축을 바꾸는 결정이다. 무안군이 ‘상생과 실리’를 함께 챙기며 지역 발전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