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전국 최고 수준의 노인일자리 정책을 펼치며 ‘고령친화 일자리 선도지역’으로 부상했다. 단순한 소득 보전을 넘어, 어르신의 사회 참여와 공동체 회복을 아우르는 사회안전망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 노인 5명 중 1명 참여…전국 평균의 두 배
18일 전북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26년 노인일자리 참여 인원은 8만 9,633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 45만 4,045명 대비 **참여율 19.7%**를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9.3%)의 두 배가 넘는 수치로, 노인 5명 중 1명이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는 셈이다.
전북의 일자리 참여 규모는 2023년 6만 8,901명에서 2025년 8만 6,714명으로 꾸준히 증가해왔다. 고령화율 26.3%로 전국 평균(20.9%)을 웃돌지만, 전북은 이를 오히려 기회로 삼아 ‘일하는 고령사회’라는 새로운 모델을 구축했다.
■ 소득 보전 넘어 ‘사회적 기여형 일자리’로 진화
전북의 노인일자리 사업은 2004년 시작된 전국 대표 정책 중 하나로, 공익활동(환경정비·안전지킴이 등), 역량활용(보육·돌봄·복지시설 지원 등), 공동체사업단(소규모 매장·공방 운영), 취업지원형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단순 노동을 넘어 **지역사회 돌봄·안전·생활지원 등 ‘사회적 기여형 일자리’**로 확장됐다. 이 사업은 경제적 도움뿐 아니라 사회적 고립 예방과 정신적 건강 유지에도 기여하고 있다.
■ 도비 20% 부담…‘지자체 매칭 전국 최고 수준’
전북은 광역시를 제외한 도 단위 지역 중 유일하게 도비 20%를 부담하고 있다. 이는 전국 평균(15%)보다 5%포인트 높다. 2026년 노인일자리 사업 총예산은 4,242억 원, 이 중 순지방비는 2,121억 원으로 서울·경기에 이어 전국 3위 규모다. 인구 대비 투입 예산이 큰 만큼 사업 확산 효과도 뚜렷하다.
■ 전문성을 살린 ‘역량활용형 일자리’ 급증
전북은 공익활동형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유형의 일자리를 고르게 확대하며 ‘전북형 일자리 모델’을 완성하고 있다.
2026년 유형별 참여 인원은 △공익활동형 6만 2,991명 △역량활용형 2만 1,063명 △공동체사업단 4,014명 △취업지원형 1,565명이다.
특히 역량활용형 일자리는 2023년 8,262명에서 2026년 2만 1,063명으로 2.5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베이비붐 세대와 신노년층의 전문성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새로운 흐름으로, 단순노동 중심에서 ‘자아실현형 일자리’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 안전관리 강화…시니어안전모니터링단 활약
도는 지난 6월 ‘노인일자리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 전 시·군에 배포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기반을 구축했다. 현재 도내에서는 시니어안전모니터링단 684명이 활동 중이며, 참여자의 안전상태 점검과 활동환경의 위험요소 관리에 앞장서고 있다.
내년에는 수행기관에 전담 안전관리 인력 50명을 신규 배치해 안전사고 예방과 현장 대응력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 ‘통합돌봄체계’ 연계해 돌봄·안전 일자리 확대
전북도는 급속한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협력체계 강화와 맞춤형 일자리 발굴에도 나선다. 내년 3월부터 본격 시행되는 **‘통합돌봄체계’**와 연계해 돌봄, 안전, 생활지원 분야 중심의 새로운 일자리를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마을 환경정비, 아동·노인 돌봄 지원, 공공시설 보조, 지역 안전점검 등 생활 밀착형 일자리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어르신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공동체 돌봄 인프라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전북은 도와 시·군, 수행기관이 힘을 모아 어르신 일자리 확충에 앞장서고 있다”며 “어르신이 존중받고 활기차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전북이 고령친화 사회의 표준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북의 사례는 ‘복지’가 아닌 ‘일’을 통해 고령사회를 준비하는 모범적인 모델이다. 단순 지원을 넘어 어르신의 경험과 역량을 사회 자산으로 연결하는 정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