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가 2026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연일 국회를 찾고 있다. 17일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 이어, 18일에는 한병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만나 핵심 사업 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예산안조정소위원회 심사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맞춰 중앙 정치권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 제주 핵심 국비사업 12건… 429억 원 지원 요청
오영훈 제주지사는 면담에서 내년 제주에서 열리는 전국체전·전국장애인체전을 비롯해 농수산업 기반 강화, 관광 산업 디지털 전환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핵심 사업 12건에 대해 총 429억 원 규모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 전국체전 운영비 부족… “전액 212억 확보 필요”
제주도가 요청한 사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전국체전 관련 예산이다. 정부안에는 156억 원이 반영돼 있지만, 오 지사는 73개 경기장 개보수와 개·폐회식 운영을 고려하면 212억 원 전액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농수산업·관광 디지털 전환 등 지역 산업 현안도 건의
제주도가 요청한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
전국(장애인)체전 운영 및 시설 개보수(212억 원, 증액 56억 원 요청)
-
제주 농산물 스마트가공센터 건립(38억 원)
-
제주수산물 활어차 운송비 지원(35억 원)
-
공공 공연예술연습공간 추가 조성(30억 원)
-
AI 기반 관광 서비스 등 디지털 관광 인프라 구축(40억 원)
스마트가공센터와 관련해 오 지사는 “동결건조 기술을 활용한 간편식 제품 매출이 늘고 있어 부가가치 확대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 그린수소 사업도 재차 호소… “도비로 이어온 사업, 중앙 지원 절실”
오 지사는 그린수소 사업의 국비 복원도 요청했다. “지난 정부에서 대폭 삭감됐지만 제주도는 자체 예산으로 추진을 이어왔고, 수소버스 상용화까지 성공했다”며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된 만큼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 예결위 “제주 요청 사항 특별히 살펴보겠다”
한병도 위원장은 “제주가 건의한 사업을 특별히 챙기겠다”고 답하며 긍정적 검토 의사를 밝혔다.
2025년 예산안조정소위는 한병도 위원장과 이소영 간사를 포함해 민주당 9명, 국민의힘 6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돼 있다.
제주도가 연일 국회를 찾는 행보는 단순한 예산 요청을 넘어 지역 신성장 사업의 향방을 좌우할 중대한 과정이다. 내년도 국비 확보 결과가 제주 경제 체질 개선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