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군이 지역의 핵심 현안을 정부에 직접 전달하며 광역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연천군은 12일 서울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과의 간담회를 갖고, 서울~연천 고속도로 조기 착공, 동두천~월정리 전철화, 경원선 전철 증차 운행 등 주요 현안을 집중 건의했다고 밝혔다.
■ “서울~연천 고속도로, 연천 발전의 핵심 축”
이날 간담회에서 김덕현 연천군수는 지역 교통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을 강하게 강조했다.
그는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단순 재정지원보다 도시 자족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광역교통망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서울~연천 고속도로 사업에 대해 “연천은 천혜의 자연환경과 더불어 2027년 완공 예정인 제3국립연천현충원 등 대규모 국책사업이 진행 중인 만큼, 서울~연천 고속도로는 지역경제의 전환점을 마련할 전략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김 군수는 이어 “해당 사업은 대통령 공약이자 국정과제에 명시된 사안으로, 조기 착공이 국가균형발전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신속한 추진을 요청했다.
■ “동두천~월정리 전철화, 남북 협력의 교두보”
연천군은 또 동두천~월정리 전철화 사업의 중요성도 적극 부각했다.
김 군수는 “경기북부와 강원 접경지역은 오랫동안 안보 규제와 개발 제한을 감내해온 지역임에도 철도 인프라 부족으로 교통 불평등이 지속되고 있다”며 “전철화 사업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이 구간은 향후 남북 철도 연결의 중부축 교두보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어 단순한 지역사업이 아닌 국가적 전략 인프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원선 증차로 교통 체감 효과 높여야”
김 군수는 또한 “경원선 1호선 개통의 효과를 시민이 체감하려면 열차 증편이 필수적”이라며 “산업단지 조성과 신규 아파트 입주 등으로 교통 수요가 급증할 예정이므로, 운행 횟수 확대를 통해 실질적인 편익이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 국토부 “접경지역 교통, 면밀히 검토하겠다”
이에 대해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접경지역의 특별한 희생에는 특별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대통령의 국정철학”이라며 “부처 차원에서 연천군의 교통 인프라 확충 방안을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연천군 관계자는 “이번 면담은 지역의 발전 방향을 중앙정부와 공유하고, 교통 불균형 해소의 필요성을 강조한 뜻깊은 자리였다”며 “향후에도 중앙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해 미래 경쟁력 있는 연천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연천군의 핵심 교통망 구축 요구는 단순한 지역개발 차원을 넘어 국가균형발전과 남북연계성 강화라는 큰 그림 속에서 추진돼야 할 과제다. 접경지역이 ‘안보 희생지’에서 ‘성장 거점’으로 전환하기 위해선 이번 논의가 실질적인 정책 실행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