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온라인 수출·판로 확대를 위한 협력 체계 구축에 나섰다. 두 부처는 12일 국제우편물류센터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공동 협력 방안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공동물류 지원사업 등에 선정된 수출 중소기업이 우체국 국제우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물류비 절감 혜택을 제공한다. 동시에 중소벤처기업부는 해당 기업에 예산을 지원해 물류비 부담을 줄여, 중소기업이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양 기관은 중소기업 전용 항공 물류센터인 ‘지능형 거래 거점(스마트 트레이드 허브)’을 공동 활용해 중소기업이 국제특급우편(EMS) 등 국제우편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국제 물류 처리 속도와 효율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협약에는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 확대를 위한 협력 강화도 포함됐다. 우정사업본부와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이 ‘우체국 쇼핑몰’에 입점할 수 있도록 연계 지원하고, 판촉·마케팅 비용을 중기부가 지원한다. 또한 ‘동행축제’ 기간에는 온라인 특별기획전 운영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소상공인의 온라인 매출 증대를 도모한다.
이와 함께 양 기관은 국제우편을 이용하는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물류 컨설팅 및 수출 상담 창구를 공동 운영, 중소기업이 수출 과정에서 겪는 물류·통관 관련 애로사항을 해소할 계획이다.
배경훈 부총리는 “우정사업본부의 국제우편 서비스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해외 진출을 돕는 핵심 인프라”라며, “이번 협약을 통해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와 소상공인 온라인 판로 확대가 한층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주재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 현장 간담회’의 일환으로 추진됐으며, 현장에는 수출 중소기업 관계자와 이음터(수출 플랫폼)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국제우편물류센터 운영 현장을 둘러보고 수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협약은 단순한 기관 간 협력을 넘어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생태계를 재구성하는 첫걸음이다. 물류·비용 부담을 줄이고 디지털 판매 채널을 확장하는 이번 정책이 ‘중소기업 수출의 대중화’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