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청년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정책 강화를 위해 발 벗고 나섰다.
경상남도는 10일 오전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2025년 제2차 경상남도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올해 청년정책 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내년도 정책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 “청년이 머물고 싶은 경남 만들겠다”
이번 회의는 박완수 경남도지사와 유창만 청년대표가 공동위원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청년위원·전문가·도의원·도청 국장 등 총 20명이 참석해 일자리·주거·복지·문화 등 주요 청년정책의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박완수 도지사는 모두발언에서 “청년이 각자의 목표와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정책을 꼼꼼히 챙기겠다”며, “청년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행정으로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회의는 지난 1년간 추진된 청년정책의 평가와 향후 방향을 공유하는 자리”라며 “위원님들께서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 의견을 자유롭게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 청년들이 직접 제안한 현장 아이디어
회의에서는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현실적 제안이 다수 제시됐다.
-
유창만 공동위원장은 K-콘텐츠 열풍과 연계한 **‘청년 반값 여행’**과 어촌·해양 신산업 일자리 발굴을 제안했다.
-
최보연 부위원장은 청년 창업 활성화를 위한 국·공유재산 임대료 인하를 건의했다.
-
이다예 청년위원은 지역축제 농산물 판매 시 청년 감성에 맞는 포장 디자인 지원을 요청했다.
박 지사는 “이러한 아이디어가 실제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 올해 주요 청년정책 성과
경남도는 올해 청년정책 성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일자리: 기업 채용 연계형 청년 일자리 및 일경험 지원 확대
-
교육: 도내 19개 대학, 136개 과제에 라이즈(RISE) 사업비 1,020억 원 확보
-
주거: 청년 일자리 연계형 주거지원 공모사업 4개 군 선정, 하동군 청년타운 준공
-
복지: 모다드림 청년통장 확대, 고립·은둔 청년 지원 시범사업 추진
-
문화: 전국 최초 국무총리 지정 청년친화도시 선정, 청년마을 전국 최다 운영
-
참여·권리: 도 위원회 청년위원 참여 확대, 청년정보플랫폼 및 청년네트워크 가입자 증가
■ 2026년 신규 과제…청년 정착·일자리 중심
경남도는 내년 이후 추진할 신규 청년정책 과제도 제시했다.
-
청년어업인 맞춤형 지원사업
-
항공우주산업 현장 맞춤형 기술인력 양성 프로그램
-
청년 농업인 분양형 스마트농업단지 조성
-
경남형 청년마을 조성 및 정착지원 강화
이와 함께 청년타깃 관광상품 개발(반값 여행 등), 스마트팜 교육 수료 청년의 창업·취업 연계 인건비 지원, 문화콘텐츠 분야 해외 ‘팝업스토어’형 시장검증 지원 등 청년 유입과 지역 정착을 위한 다채로운 아이디어도 논의됐다.
■ “성과 높은 사업은 확대, 실효성 낮은 정책은 정비”
박완수 도지사는 “오늘 제안된 모든 의견을 도정에 충실히 반영해 청년이 머물고 싶은 경남을 만들겠다”며, “성과가 높은 사업은 확대하고 실효성이 낮은 정책은 개선·정비하는 방식으로 내년도 청년정책을 구체화하겠다”고 밝혔다.
경남도가 보여준 이번 행보는 ‘정책을 만드는 주체로서의 청년’을 인정하는 의미 있는 변화다. 현장의 아이디어가 제도화될 때 비로소 청년정책은 실효성을 가진다. 경남이 그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