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이 방위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원가제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
방위사업청은 11월 6일 경북 구미 LIG넥스원 연수실에서 ‘조선·항공 분야 방산 협력업체 원가발전 간담회’를 열고, 조선·항공 관련 방산업체 및 협력업체 임직원 30여 명과 함께 합리적인 원가 산정 및 제도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 현장 목소리 반영 위한 소통 간담회
이번 간담회는 지난 5월 울산에서 열린 ‘주요 조선·항공업체 원가업무 간담회’의 후속 행사로, 방산 현장에서 협력업체들이 겪는 원가 산정의 어려움과 제도적 한계를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방산업체-협력업체 간 상생 체계 구축 ▲투명한 원가 관리 문화 확산 ▲하도급 계약의 공정성 강화 등 실무 중심의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 “현장의 의견을 정책에 반영”…참석자들 긍정 평가
항공 분야 협력업체 관계자는 “방사청이 직접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 반영을 약속한 점이 인상 깊었다”며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협력업체의 현실이 제도 개선에 더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선 분야 관계자 또한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협력업체의 원가자료 관리 부담이 줄고,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원가 산정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 “협력업체는 방위산업의 핵심 파트너”
박정은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지원부장(고위공무원)**은 “협력업체는 방위산업 경쟁력의 근간이자,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뒷받침하는 핵심 파트너”라며 “이번 간담회가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협력업체의 원가제도 개선으로 이어져 방위산업 성장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방사청 “실질적 협의의 장으로 지속 발전”
방위사업청은 앞으로도 방산업체와 협력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상생형 원가제도 협의체를 정례화하고, 현장에서 제기된 의견을 토대로 제도 개선 및 정책 반영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원가 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국내 방위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방위산업의 경쟁력은 대기업보다 수많은 협력업체의 기술력과 신뢰에서 비롯된다. 이번 간담회처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연결하는 노력이야말로 지속 가능한 K-방산 생태계의 핵심 동력이 될 것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