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및 정신장애를 가진 당사자의 안정적인 주거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실질적 논의의 장이 제주에서 열렸다. 전문가와 관계기관, 도민 등 100여 명이 모여 공공·민간 협력 강화와 지원주택 확대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 정신질환자 주거지원체계 마련 위한 포럼 개최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는 7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 당사자 주거지원체계 구축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정신질환 당사자가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주거지원사업의 현황을 점검하고, 자립 기반 마련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주거지원·자립지원·통합돌봄…전문가 발표 이어져
이날 행사에서는 현장 중심의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
전준희 화성시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당사자 주거지원사업 추진 현황 및 자립지원 방안’을 주제로, 실제 운영사례를 통해 지역사회 연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임규설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장은 ‘주거지원사업의 필요성과 지역사회 전환시설의 발전방향’을 발표하며,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는 지속 가능한 주거지원 모델 구축을 제안했다. -
김유진 제주시장애인지역사회통합돌봄지원센터장은 ‘제주지역 장애인 자립(주거)지원 사업성과 및 발전방향’을, 서해정 한국장애인개발원 중앙장애인지역사회통합지원센터장은 ‘정신질환자 주거지원 시범사업 현황 및 비수도권 접근 방안’을 주제로 지역별 사례와 향후 과제를 공유했다.
■ “공공-민간 협력 강화·지원주택 확대 필요”
이어진 종합토론에서는 강성의 제주도의회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의원이 좌장을 맡아 전문가와 현장 관계자들이 함께 지역 특성에 맞는 실질적 주거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 당사자의 자립을 위해 ▲공공-민간 협력 강화 ▲지원주택 확대 ▲지역사회 기반 통합 돌봄체계 구축의 필요성에 뜻을 모았다.
■ “도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복지 향상에 기여할 것”
제주도는 이번 포럼을 통해 정신질환·정신장애 당사자의 주거지원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실효성 있는 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도민의 정신건강 증진과 지역사회 복지 향상을 위한 지원체계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조상범 제주도 안전건강실장은 “정신질환 및 정신장애를 가진 도민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된 주거를 기반으로 자립과 회복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일은 우리 사회의 포용력과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핵심 과제”라며, “이번 포럼이 지속 가능한 주거지원체계의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신질환자 주거문제는 복지의 사각지대이자 지역사회 통합의 바로미터다. 이번 포럼이 보여준 공공·민간 협력의 움직임이 실질적 정책으로 이어져, 누구나 지역에서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