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2027년도 국가예산 확보를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1월 6일, ‘2027년 국가예산 신규사업 1차 발굴 및 전략 점검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노홍석 행정부지사 주재로 열렸으며, 문화체육관광국, 복지여성보건국, 건설교통국 등 행정 분야 실·국이 참석해 각 부서별 추진 전략을 공유하고 신규사업 발굴 방향을 논의했다.
도는 이번 1차 발굴을 통해 총 166건, 국비 요구액 약 2,005억 원 규모의 신규사업을 선정했으며, 2028년 이후 추진 예정 사업까지 포함하면 총 171건, 총사업비 16조 7,499억 원에 달한다.
국가예산 확보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는 가운데, 도는 정부의 재정지출 구조조정 기조에 맞춰 기존 SOC(사회간접자본) 중심에서 벗어나 AI, 에너지, 복지 등 미래 전략분야 중심으로 신규사업을 전환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다음 달부터 전북연구원과 ‘국책사업 발굴추진단’을 본격 가동해 대형 국가예산 사업 발굴에 돌입한다. 또한, 도지사 주재의 2차 보고회를 열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내년 정부 부처 예산안 확정 전인 2025년 4월까지 국비 요구액 8,000억 원 이상 확보를 목표로 신규사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도는 국가계획 반영, 예비타당성조사 등 사전 절차를 조기에 완료해 2027년도 정부예산안 반영률을 높이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노홍석 전북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는 “국가예산 확보는 선제적 발굴과 충분한 논리적 근거가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며, “전북연구원 등 외부 전문가 그룹과 긴밀히 협업해 미래 먹거리 산업 중심의 신규사업 발굴에 도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국가예산 확보는 ‘속도전’이자 ‘논리전’이다. 전북의 전략적 선제 대응이 지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