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11월 4일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수요자 중심·인공지능(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한성숙 장관이 주재한 현장 간담회(8월 21일) 와 공공기관 정책협의회(10월 1일) 등을 통해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해 마련된 것으로, 그간 “정보 접근이 어렵고, 서류 부담이 과중하며, 브로커 개입이 심하다”는 현장의 불편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 “찾기 어렵고 복잡했던 지원사업, AI가 찾아준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통합플랫폼 + AI 추천 + 디지털 간소화’**다.
①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기존의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하나로 통합해 정부·지자체 등에서 운영 중인 2,700여 개 중소·벤처·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소기업확인서, 벤처기업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도 한 번에 발급 가능하다.
② AI 기반 맞춤형 지원사업 추천
기업의 업종, 지역, 수혜 이력, 검색기록 등을 AI가 학습해 가장 적합한 지원사업을 자동 추천한다.
예를 들어 △수출기업에는 맞춤형 수출국가·관세 정보(중진공) △소상공인에게는 상권 분석(소진공) △제조기업에는 기술공급 추천(기정원) 등이 제공된다.
③ AI가 대신 써주는 사업계획서
기업이 사업자등록번호, 지원사업명,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기업정보와 기존 우수계획서를 분석해 맞춤형 사업계획서 초안을 자동 생성한다. 이를 통해 기존 10~20쪽 분량의 계획서 작성 부담을 대폭 줄인다.
■ “서류 반으로 줄이고, 브로커 개입 차단한다”
서류 제출은 평균 9개에서 4.4개로 50% 이상 감축된다.
행정정보공동이용,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등을 연계해 사업자등록증·재무제표 등은 기관이 직접 확보한다.
또한 13개 지방중기청과 7개 산하기관에 불법 브로커 예방·신고센터를 설치해 공공기관 사칭, 허위 서류 작성, 보험 끼워팔기 등 제3자 부당개입을 AI로 탐지·제재할 계획이다.
■ “AI로 혁신기업 선별, 평가의 공정성 높인다”
AI를 활용한 기업평가 체계도 도입된다.
-
‘K-TOP’ 개방형 기술평가 플랫폼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력과 특허 데이터를 AI가 분석, R&D·기술개발 지원대상 기업을 객관적으로 선별한다.
-
은행이 K-TOP 평가를 활용해 보증–대출 원스톱 기술금융 체계를 구축하면 기술력이 입증된 기업은 별도 심사 없이 기보 보증 및 대출 연계가 가능하다.
-
중진공의 AI 평가모델(K-Value) 은 혁신이용권(바우처), 도약 프로그램 등으로 확대 적용되고, 금융위와 협업해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시스템(SCB) 도 신설된다.
■ “공공 서비스도 혁신해야”…한성숙 장관 발언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제는 공공도 서비스 혁신을 이뤄내야 한다. 더 이상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불편하게 해서는 안 된다”며, “AI 기반으로 중소기업 지원체계를 직관적이고 친숙한 시스템으로 전면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