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외국인 인재의 정착을 돕고 지역 기업의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이민전담기구’ 유치에 본격 나섰다.
도는 3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경기도 외국인 우수인재·이민전담기구 유치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글로벌 인재 유입과 정착을 지원할 통합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 “73만 명 외국인 시대…이제는 통합적 이민정책 필요”
올해 8월 기준 경기도 내 장기체류 외국인은 약 73만 명, 전국 212만 명의 **34%**를 차지한다.
도는 외국인 인재의 요구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이민전담기구 설치 기반을 마련하고, 외국인 인력과 지역경제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행사에는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 경기도상공회의소연합회장, 경기경영자총협회장, 도내 기업인, 대학 관계자, 유학생, 시·군 및 외국인센터 관계자 등 90여 명이 참석했다.
■ 외국인 비자 지원·인재 양성…‘글로벌 경기’ 비전 제시
주요 프로그램은 경기도 우수인재 유치정책 발표, 글로벌 인재 유치 및 경제활동 관련 설문조사 결과 공유, 귀화 외국인 특강 및 전문가 강연, 기업인–유학생 패널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도는 경기도지사 명의의 추천서를 통해 외국인이 특정활동(E-7) 비자를 신청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운영하며, 경제·산업계 수요에 맞는 비자 제도를 개선해 맞춤형 외국인 인재 유치 정책을 추진 중이다.
■ “이민전담기구 설립 필요성” 기업 74.6% 공감
이날 발표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기도 거주 외국인 500명 중 66.2%가 ‘이민정책이 정착에 도움이 된다’,
**78.8%가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만족 이유로는 생활 편의성(31.0%), 일자리 기회(19.3%), **임금 수준(16.2%)**이 꼽혔다.
도내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74.6%가 ‘이민전담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67.4%는 경기도의 광역형 비자사업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외국인 인재 정착·고용·통합을 한 곳에서”
이민전담기구는 비자·고용·정착지원·사회통합 등 외국인 정책을 통합 관리하는 전담조직이다.
현재 법무부·고용노동부·행정안전부 등으로 분산된 기능을 하나로 묶어 외국인 인재의 유입부터 정착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게 된다.
경기도는 지난해 4월 광역지자체 최초로 이민전담기구 설치 정책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이어 9월에는 안산·김포·화성·광명·고양·동두천 등 유치 희망 시군과 간담회를 열어 기반 마련에 나섰다.
■ “이민전담기구, 경기도가 최적지”
김대순 행정2부지사는 “외국인 인재와 기업, 대학이 함께 협력할 때 경기도의 산업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이주민 정책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이민전담기구는 가장 많은 외국인이 거주하고 사회문화적 포용력이 높은 경기도가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이민전담기구’는 단순한 외국인 지원이 아닌 글로벌 인재와 지역경제를 잇는 미래형 플랫폼이다.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통합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외국인 인재의 정착과 산업 혁신을 동시에 이루는 ‘글로벌 허브 지자체’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