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지자체 주도의 해상풍력 개발 체계 구축을 위한 첫 발걸음을 내딛었다. 시는 지난 10월 31일 ‘군산시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신청서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제출하며, 어청도 인근 해역 1.02GW 규모의 해상풍력 단지 조성을 공식 추진한다고 밝혔다.
■ “지자체가 주도하는 해상풍력 개발” 첫 사례
이번 신청은 지자체가 직접 주도하는 계획적 해상풍력 개발 모델로, 지역 이익공유와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는 40MW를 초과하는 대규모 발전사업을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계획·관리할 수 있도록 지정된 구역으로, 집적화단지로 지정될 경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에 최대 0.1의 가중치가 추가된다.
이를 통해 발생한 추가 수익은 어업 공존, 주민복지, 지역상생 사업 등 공공목적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 철저한 준비와 주민 참여…“공공성·수용성 모두 확보”
군산시는 이번 신청을 위해 ▲사전 타당성 조사 ▲입지 적합성 검토 ▲전력계통 연계 방안 마련 ▲민관협의회 운영 ▲주민설명회 개최 등 단계별 절차를 철저히 이행했다.
특히 사업자가 개입하지 않은 순수 지자체 주도형 모델로 추진된 점이 특징이다. 시가 계획 수립부터 주민 의견 수렴, 지정 신청까지 모든 과정을 직접 주도함으로써 공공성과 계획성을 동시에 확보한 전국적 모범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17차례의 민관협의회 운영과 주민설명회 개최를 통해 높은 수준의 지역 수용성 확보에도 성공했다. 이는 군산형 해상풍력 사업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힌다.
■ 내년 3월 지정 여부 발표 전망
현재 전국 여러 지자체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을 신청한 가운데,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사업계획 검토 및 심의 절차를 거쳐 내년 3월 ‘해상풍력 특별법’ 시행 이전에 지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군산형 공공에너지 모델의 시작”
강임준 군산시장은 “이번 지정 신청은 정부의 에너지 대전환 정책에 부응한 군산형 공공에너지 모델의 의미 있는 출발점”이라며, “향후 새만금 RE100 산업단지와 연계한 에너지 자립도시 실현을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군산의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추진은 ‘에너지 전환’과 ‘지역 상생’의 균형을 잡은 첫 시도다. 중앙정부 중심의 에너지정책에서 벗어나, 지자체가 주도하는 에너지 자립의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