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기상악화로 인한 농산물 가격 불안, 외식업계의 ‘슈링크플레이션(제품 양 축소)’ 문제, 연말 소비자 물가 상승 가능성 등에 선제 대응에 나섰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10월 23일 오후 3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 먹거리·석유류 등 주요 품목별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수급안정 및 물가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잦은 강우와 급격한 기온 하락 등으로 일부 농산물 가격 변동이 우려된다”며 “비축물량 방출, 할인지원, 작황관리 강화 등 선제적 대응으로 가격 안정을 유지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일부 외식 프랜차이즈에서 발생한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가격은 그대로 두고 중량을 줄이는 행위) 문제에 대해 “소비자 신뢰를 저해하는 행위”라며 연말까지 관계부처가 ‘슈링크플레이션 근절방안’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농산물의 경우 농식품부·농진청·지자체·농협 등이 협업해 병충해 방제, 생육관리 강화에 나선다. 사과·단감 등 과일류는 출하 회복 전까지 정부 할인판매를 지속, 김장철 수요가 급증하는 배추·무·마늘은 정부 비축 및 출하조절용 물량을 확보한다.
정부는 11월 초 ‘김장재료 수급안정대책’을 발표해 비축물량 방출 및 추가 할인지원을 시행할 예정이다.
축산물과 수산물은 대형 유통업체 및 생산자단체와 협업한 대규모 할인행사가 추진된다.
-
10월 28일~11월 9일: 한우 최대 50% 할인 판매
-
11월 중: 수육용 돼지고기, 대중성 어종, 젓갈류 등 김장재료 할인행사 진행 예정
또한, 이 차관은 “APEC 정상회의와 가을 지역축제 기간 바가지요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지자체·민간과 협력해 외식·숙박요금 집중 관리를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이미 ‘민관합동 물가점검반’을 운영 중이며, 법 위반 시 과태료 등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유류세 한시 인하조치를 2개월 추가 연장하고, 버스·택시·화물차·연안화물선 등의 경유·CNG 유가연동보조금 지원도 2025년 12월까지 연장해 운송·물류비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