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첨단 의료기기 산업을 차세대 국가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2026년부터 2032년까지 7년간 총 9,408억 원(국고 8,383억 원, 민자 1,025억 원)**을 투입하는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규모 협력 프로젝트로,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저급 의료기기’ 6건 개발과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는 기초·원천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R&D 전주기를 지원하며, 특히 AI(인공지능)·로봇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의료기기 분야를 전략적으로 육성해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1기)’의 성과를 잇는 후속사업이다.
1기 사업에서는 467개 과제를 지원해 5년간(2020~2024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 해외 102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 등 구체적 성과를 거뒀다.
또한 국산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 개발, 세계 최초 AI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상용화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 성과도 도출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가 단절되지 않도록 2기 사업을 통해 지속적인 전주기 R&D 지원 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11월 5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사업 설명회를 개최, 의료기기 분야 산·학·연·병 연구자들이 참석해 사업 방향과 2026년도 신규 과제 참여 방안 등을 공유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주요 내용, 일정, 참여 절차 안내와 함께 현장 질의응답 및 의견수렴이 이뤄졌다.
정부 관계자는 “첨단 의료기기 산업은 고령화와 의료서비스 고도화에 대응할 핵심 국가 전략산업”이라며, “연구자들의 현장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실질적인 연구성과를 낼 수 있도록 범부처 협력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의료기기 산업은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국가의 생명산업 경쟁력을 가늠하는 핵심 분야다. 정부의 이번 2기 사업이 K-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발판이 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