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시가 수확기를 맞은 벼 재배 현장의 실태 점검과 농가 지원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공주시는 지난 29일 이승돈 농촌진흥청장이 공주시 벼 수확 농가와 공주통합미곡종합처리장(RPC)을 방문해 작황과 수매 현황을 점검하고, 농가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방문에는 최원철 공주시장과 김영 충청남도농업기술원장이 함께했으며, 농업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최근 잦은 비와 고온으로 인한 벼 품질 저하, 수발아 피해, 도정수율 하락 등 현장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이승돈 청장은 공주시 의당면 수촌리 벼 재배단지를 찾아 콤바인 수확 작업을 살피며, 잦은 가을비와 고온 현상으로 발생한 ‘수발아’ 피해와 벼알에 나타난 ‘깨씨무늬병’ 피해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이어 **공주통합미곡종합처리장(RPC)**을 방문해 건조·저장·도정 시설을 확인하고, 수매 및 유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저하와 도정률 하락 문제를 점검했다.
현장 농업인들은 “장마와 잦은 비로 논이 질어 기계 진입이 어렵고, 일부 벼는 이삭에서 싹이 트는 등 수발아 피해가 잦다”며, “깨씨무늬병으로 품질이 떨어지고 도정 과정에서 미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호소했다.
이에 이승돈 청장은 “올해처럼 기상 변화가 극심한 해에는 수확량보다 품질 유지가 더욱 중요하다”며 “농촌진흥청은 내수발아성 품종 개발, 병해 저항성 계통 확대, 재배기술 교육 강화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형 쌀 생산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김영 충남농업기술원장은 “충남 지역 피해 현황을 면밀히 조사해 농가별 맞춤형 기술 지원과 복구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공주시는 통합미곡종합처리장을 중심으로 고품질 쌀 생산과 유통기반을 강화하고, 기상이변에 대응한 현장 기술지원을 지속해 농업 경쟁력을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고품질 브랜드 품종 ‘예찬’을 중심으로 지역 특화 재배단지를 운영 중이며, 내병성 품종 확대와 우량 종자 보급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쌀 산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