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은 10월 20일, 러시아 유즈노사할린스크시 사할린한인문화센터에서 ‘사할린동포 영주귀국·정착 및 생활안정 지원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재외동포청 개청 이후 세 번째로 열린 현지 설명회로, 영주귀국 대상 사할린동포 및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귀국 절차와 정착 지원 제도 전반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재외동포청과 대한적십자사 관계자가 직접 현지를 방문해 설명했고, 법무부 등 관계기관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재외동포청은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 등으로 사할린으로 이주했으나 광복 이후 귀국하지 못한 동포와 그 가족의 영주귀국을 지원하고 있다.
영주귀국 대상자로 선정된 사할린동포 및 그 가족은 「사할린동포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귀국 운임 및 초기 정착비 ▲거주·생활시설 운영비 ▲임대주택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설명회에서는 올해 영주귀국이 확정된 동포들을 대상으로 귀국 일정과 정착 절차를 안내하고, 내년 영주귀국을 희망하는 대상자들에게는 신청 일정 및 선정 기준 등 전반적인 절차를 상세히 설명했다.
이날 현장에는 오전·오후 세션을 합쳐 사할린동포 약 110여 명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현장 참석이 어려운 동포들을 위해 온라인 참여와 러시아어 통역 서비스도 제공됐다.
특히, 지난해 개정된 「사할린동포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영주귀국이 가능한 동반가족의 범위가 기존 ‘배우자, 직계비속 1명 및 그 배우자’에서 ‘배우자, 자녀 및 그 배우자’로 확대된 내용도 함께 안내됐다.
설명회에 참석한 한 동포는 “귀국 절차와 지원 내용이 구체적으로 안내되어 큰 도움이 됐다”며, “하루빨리 고국에서 가족과 함께 살 수 있길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경협 재외동포청장은 “아직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사할린동포들의 영주귀국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국내 정착과 생활안정을 위한 실질적 대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은 단순한 귀국이 아니라 역사적 복원의 과정이다. 사할린동포들의 귀향이 진정한 ‘귀환의 완성’이 되길 바란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