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내년도 공공부문 생활임금이 시간당 1만1220원으로 확정됐다.
전주시생활임금위원회는 최근 회의를 열고 2026년도 생활임금을 심의·의결했으며, 이는 올해(1만960원)보다 260원(2.4%) 오른 금액이다. 또한 정부가 고시한 내년도 법정 최저임금(1만320원)보다 900원(8.7%) 높은 수준이다.
‘생활임금’은 근로자의 기본적인 생활 안정을 보장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법정 최저임금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지급하는 임금 제도다. 전주시는 지난 2014년 ‘전주시 생활임금 조례’를 제정한 이후 매년 생활임금을 자체적으로 책정해 왔다.
이번에 결정된 생활임금은 2026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적용되며, 전주시 소속 기간제 근로자와 전주시설공단, 출자·출연기관 근로자 등 약 761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시는 생활임금제가 도입된 이후 노동자의 삶의 질 개선뿐 아니라 지역경제 선순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고 평가했다. 향후에는 제도의 안정적인 운영을 바탕으로 민간 부문으로의 확산도 유도할 계획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법정 최저임금 인상률, 소비자물가, 타 지자체의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번 인상안을 결정했다”며 “이번 조치가 공공부문 저임금 근로자의 고용 안정과 생활 향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생활임금 인상은 단순한 임금 조정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생활 품질’을 높이는 사회적 약속이다.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민간까지 확산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포용 임금제’로 자리 잡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