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11월 3일부터 5일까지 3일간 고양시 소노캄 고양에서 ‘2025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은 비무장지대(DMZ)의 생태·평화적 가치를 세계와 공유하고,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모색하기 위한 국제 학술포럼으로, 올해는 **‘DMZ에서 시작하는 미래 길 찾기’**를 주제로 진행된다.
올해로 3년 차를 맞은 이번 포럼은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DMZ와 한반도의 새로운 평화·생태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개회식에서는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교수의 기조연설이 열린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로 잘 알려진 샌델 교수는 청중과의 하버드식 문답 토론 형식으로 DMZ의 평화정착과 생태보존, 청년세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어 ‘DMZ OPEN 페스티벌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와의 특별 대담이 진행되며, 경기민요 아티스트 송소희의 평화 기원 공연이 무대를 장식한다.
포럼의 핵심 프로그램인 **‘OPEN 세션’**은 문화·예술·기술이 융합된 자유토론형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인도 설치미술가 파르바티 나야르(Parvati Nayar)**가 ‘Limits of Change’를 주제로 인도와 한국의 역사적 서사를 예술로 재해석하며, 다큐멘터리 작가 권기봉 작가가 ‘광복 80주년, DMZ의 의미’를 주제로 강연한다.
두 번째 세션은 고려대 박훈 교수의 사회로 진행되며, ▲DMZ 재생에너지벨트 구상(식스티헤르츠 김종규 대표) ▲재생에너지 전력의 시장 진입(서강대 김홍석 교수) ▲기후테크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Capture6 박형건 부사장) ▲파주 민통선 평화에너지벨트 구축(황우현 교수) 등 기후테크와 에너지 전환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진다.
이 외에도 참가자들은 DMZ 전시 이벤트, 세션 인증 이벤트, 에코피스 리포터 활동 등에 참여하며, 포럼 구성원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형 프로그램도 마련된다.
우병배 경기도 평화협력과장은 “DMZ OPEN 에코피스포럼은 단순한 학술회의를 넘어 DMZ의 평화·생태적 가치를 전 세계와 공유하는 실천적 플랫폼”이라며, “도민, 청년, 국제사회가 함께 참여해 평화와 공존의 미래 비전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DMZ는 분단의 상징을 넘어 이제 ‘지속 가능한 평화’의 실험실로 변하고 있다. 이번 포럼이 세계가 주목하는 ‘평화와 생태의 모델 DMZ’로 향하는 이정표가 되길 바란다.
[비즈데일리 장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