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중기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발표…중소 제조업 AI 전환 본격화

AI 대전환 시대에 중소기업이 제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조기업과 기술기업 간의 선순환적 스마트제조 생태계 조성 추진

 

정부가 중소 제조기업의 인공지능(AI) 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열린 제5차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발표하며, AI를 통한 제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제시했다.

 

■ AI 대전환으로 중소 제조업 경쟁력 강화

최근 제조업 부진과 인력난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기업은 자체적으로 AI를 도입하고 있지만 중소 제조기업은 비용 부담과 기술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부는 제조기업과 기술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AI 스마트제조 생태계’**를 조성해,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3대 과제

1️⃣ 수준별 맞춤 지원으로 자율 제조 모델 육성

  • 스마트공장 기반 위에 단계별 버티컬 AI를 도입하고, 전문가 컨설팅을 강화한다.

  • 성과 평가에 환경성과 안전성을 반영하며, CEO·근로자 대상 산업안전 교육도 확대한다.

2️⃣ 공급망·지역·업종 특화 AI 전환 추진

  • 대기업의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한 상생형 AI 공장 확대 및 공급망 단위 전환 지원.

  • 지자체 주도 ‘지역 특화 스마트공장’ 확대 및 식품·화장품 등 업종별 모델 발굴 강화.

3️⃣ 소기업·소공인 AI 활용 기반 강화

  •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반 구독형 스마트공장 보급으로 초기비용 부담 완화.

  • 제조로봇 도입 및 자동화 지원, 소공인 맞춤 스마트제조 지원 확대.

 

■ 스마트제조 산업 육성 및 기술 경쟁력 확보

정부는 스마트제조 기술기업을 법적·제도적으로 지원할 체계를 마련하고, 전문기업 지정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AI 기술로드맵을 수립해 연구개발(R&D)과 상용화를 연계하고, 글로벌 진출까지 이어지는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 제조 AI 내재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

  • 제조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하고, 국제표준(AAS) 기반으로 1천 개 제조데이터셋을 확보해 민간 공개.

  • 연구인력부터 재직자까지 전 주기에 걸친 AI 리터러시 교육 강화.

  • 중앙·민간·지역이 협력하는 ‘제조AI 24 플랫폼’ 구축을 통해 One-Stop 지원체계 마련.

 

■ 2030년까지 AI 도입률 10% 목표

중기부는 이번 전략으로 1.2만개 스마트공장에 AI 기술을 보급하고,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현재 1%에서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한 산업재해율 20% 감소를 목표로, 일자리의 질 개선과 함께 AI 전문기업 500개 육성을 추진한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생산 방식의 혁신”이라며 “AI 대전환 시대, 중소기업이 스스로 성장하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AI는 이제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다. 중소기업의 현실에 맞춘 **‘스마트 제조의 생활화’**가 이뤄질 때, 한국 제조업의 미래는 한층 더 단단해질 것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