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남구가 지역 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 중인 **‘남구형 긴급복지 지원사업’**이 위기 가정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다.
남구에 따르면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으로 생계유지가 어려운 주민들이 ‘긴급복지’와 ‘노랑 호루라기 지원사업’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받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소득 양극화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인해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주민이 증가하면서, 현장 중심의 맞춤형 복지정책이 위기 대응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남구는 현재 두 가지 사업을 병행 운영 중이다.
-
**‘긴급복지 지원사업’**은 긴급복지지원법에 따라 위기 상황에 처한 주민에게 생계비, 의료비, 주거비, 교육비 등 공적 지원을 제공하는 제도다.
-
반면 **‘노랑 호루라기 지원사업’**은 법적 보호 사각지대에 놓인 가정을 대상으로, 제도 밖 위기가구를 신속히 지원하는 남구 고유의 복지모델이다.
올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두 사업을 통해 지원된 건수는 총 4,038건, 지원금은 36억 5,200만 원에 달했다.
이 중 **생계지원이 2,674건(29억 2,400만 원)**으로 전체의 66%를 차지했고, 의료비 지원 275건(5억 5,900만 원), 주거비 지원 31건(900만 원), **기타 연료비·장례비 등 1,058건(1억 5,900만 원)**이 이어졌다.
실제 수혜 사례도 다양하다.
가정폭력으로 생활 기반을 잃은 30대 여성은 긴급 생계급여 지원을 통해 자녀와 함께 다시 삶을 이어갈 수 있었고, 홀로 사는 70대 어르신은 노랑 호루라기 사업을 통해 의료비와 생활비를 지원받으며 희망을 되찾았다.
남구 관계자는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가족 해체, 사회적 고립 등 복합적인 위기가 빠르게 늘고 있다”며 “현장 중심의 적극적인 발굴을 통해 도움이 절실한 가구에 신속히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복지는 제도보다 ‘속도’가 중요하다. 위기 앞에 주저앉기 전에 손을 내밀 수 있는 남구의 시스템이, 지역 복지의 진정한 모델로 확산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