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군이 올가을, 대한민국 명장의 손끝에서 빚어진 도예전으로 전통과 예술의 깊은 울림을 전한다.
삼례문화예술촌 제4전시관에서는 현재 **‘흙과 사람, 공명의 예술–진정욱 작가전’**이 열리고 있으며, 흙과 불, 그리고 장인의 철학이 어우러진 도예작품 34점이 전시 중이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 진정욱 작가는 최근 2025년 대한민국 명장으로 선정된 도예가로,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위봉마을의 **‘봉강요(鳳岡窯)’**에서 전통 도자의 맥을 잇고 현대적 감각을 더한 창작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그의 대표작인 달항아리 시리즈를 비롯해 백자, 분청사기 등은 전통의 정수를 품으면서도 세련된 현대미를 담고 있다. 특히 인화·박지·귀얄·철화 등 다양한 기법을 자유롭게 넘나들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 도예 세계를 펼치고 있어, 한국 도예계의 혁신적 장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람과 흙의 공명’, ‘전통과 혁신의 조화’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진 작가의 예술 철학과 장인정신이 담긴 34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장은 마치 흙이 생명으로 태어나는 여정을 고요히 담아낸 공간처럼,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진정욱 명장은 “흙은 사람과 가장 닮은 재료로, 다듬고 불태워야 비로소 제 빛을 낸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제 삶과 철학, 그리고 완주 도예의 새로운 길을 함께 나누고 싶다”고 전했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완주는 예로부터 도예의 고장으로,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세계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진정욱 명장의 작품을 통해 완주 도예문화의 품격이 한층 더 빛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삼례문화예술촌 제4전시관에서 오는 12월 31일까지 열리며, 자세한 사항은 삼례문화예술촌으로 문의 가능하다.
진정욱 명장의 흙은 단순한 재료가 아니라, ‘삶’과 ‘철학’을 담은 존재다. 이번 전시는 도자 예술이 전통을 넘어 미래로 나아가는 완주의 문화적 자부심을 보여주는 무대다.
[비즈데일리 장경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