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우리나라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宗廟)’**를 직접 찾아,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세운4구역 재개발로 인한 세계유산 가치 훼손 우려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김 총리는 “종묘는 서울시의 단독 결정으로 훼손할 수 없는 국가적 자산”이라며,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보호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 “문화냐 경제냐의 문제가 아니다…국가가 책임 있게 나서야”
10일 오전, 김민석 총리는 종묘를 방문해 현장을 둘러보고 관계자들과 종묘 보존 현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최근 서울시의 세운4구역 고도 상향 결정 고시로 인해, 종묘의 경관 훼손 및 세계유산 지위 유지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이뤄졌다.
김 총리는 “문화냐 경제냐의 선택 문제가 아니다.
K-문화와 K-관광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시점에서, 이번 결정이 자칫 문화와 경제, 미래 모두를 해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정부가 국가적 책임감을 갖고 신중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국민적 공론화로 해법 찾아야”…서울시에 협의 촉구
김 총리는 “종묘는 단순한 유적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역사적 가치가 집약된 상징적 공간”이라며, “서울시의 일방적인 도시계획 결정으로 훼손될 수 없는 국가의 자산”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는 정치적 논쟁의 대상이 아니라 모든 세대와 시민이 참여하는 국민적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김 총리, 문화체육관광부·국가유산청에 긴급 지시
김민석 총리는 종묘의 보존과 세계유산 가치 유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문화체육관광부와 국가유산청에 긴급 지시했다.
1. 종묘 보존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신속히 검토할 것
2. 서울시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합리적 대책 마련
3. 종묘 훼손 방지를 위한 국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것
4. 유네스코에 대한민국 정부의 보존 노력과 현 상황을 성실히 설명할 것
■ 종묘,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K-문화의 뿌리’
종묘는 1995년 우리나라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조선 왕실의 종묘사당으로, 세계적으로 유교적 제례 문화의 최고 수준을 보여주는 건축·문화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세운4구역 고도 상향이 종묘의 경관·완충구역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서도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묘는 단순한 문화재를 넘어 대한민국 역사와 정체성의 상징이다. 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국민적 공론화가 병행되지 않는다면, 이번 논란은 단순한 개발 갈등을 넘어 문화유산 보존 체계의 근본적 신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비즈데일리 최진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