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는 24일, 충북발달장애인지원센터 1층 회의실에서 발달장애인 전문기관 관계자와 자문위원, 시·군 담당자, 수행기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충청북도 발달장애인 지원 기본계획 수립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은 ‘충청북도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 조례’ 제6조에 근거해 5년 단위로 수립되는 법정계획으로, 제1차 계획(2020~2024년)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부터 2029년까지의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용역을 맡은 ㈜대원경영연구소는 지난 4월 착수 이후 도내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심층면접, 포커스그룹 인터뷰(FGI), 웹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의 안전한 생활환경이 보장되는 충북’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생애주기별 욕구 특성 반영 ▲당사자 중심의 인권보장 기반 마련 ▲일상생활과 자립 지원 강화 ▲AI 기반 디지털 복지환경 조성 등 4대 핵심전략과 18개 중점과제, 38개 세부 실행과제를 도출했다.
충북도는 이번 보고회에서 제시된 전략과 과제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책을 구체화하고,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원체계 구축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한편, 충북도는 올해 약 282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긴급돌봄, 주간·방과후활동, 가족지원(부모심리상담·가족휴식·부모교육), 공공후견지원, 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 중이다.
발달장애인 정책은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의 포용력을 가늠하는 척도다. 충북도의 제2차 기본계획이 형식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원체계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이성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