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탄소감축을 위한 핵심 산업 프로젝트에 대규모 융자 지원을 단행한다.
산업부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시설 투자 및 연구개발(R&D)에 나서는 16개 신규 프로젝트에 향후 3년간 총 2,973억 원의 융자금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통해 총 9,63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이번 지원은 ‘탄소중립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시설과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산업부는 올해 상반기 1차로 9개 프로젝트를 선정한 데 이어, 8월부터 실시한 2차 공모를 통해 추가로 16개 프로젝트를 확정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14개 시중은행을 통해 1.3%의 저금리로 최대 500억 원까지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이달부터 본격적인 대출 실행이 시작된다.
이번에 선정된 프로젝트들은 ▲정유·조선 등 전통 산업의 탈탄소화 ▲수소·연료전지 등 신에너지 산업 혁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추진된다. 특히, 국내외 경기 둔화 속에서도 총 9,630억 원의 신규 투자가 계획되어 있어, 탄소중립 산업 전환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부는 2022년 사업 시작 이후 올해까지 누적 95개 프로젝트에 약 8,000억 원의 융자 지원을 완료했으며, 이를 통해 총 3조 4천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 촉진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박동일 산업정책실장은 “조만간 발표될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맞물려 이번 16개 선도 프로젝트의 지원은 매우 시의적절하다”며 “산업계가 저탄소·고부가가치 구조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적인 금융 및 정책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탄소 감축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과제다. 정부의 금융 지원이 산업의 녹색전환을 앞당기는 촉매제가 되길 기대한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