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추진 중인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 사업으로 공식 선정되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의 발판을 마련했다.
경남도는 10월 31일 기획재정부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해당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 마산해양신도시, 첨단산업 거점으로 변모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은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해양신도시 내 공공부지 33,089㎡**에 지식기반·정보통신산업·첨단제조업을 유치해 고부가가치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3,809억 원(국비 75%, 지방비 25%)**이 투입되며, 기업 입주동(11층), 지원시설동(5층) 등 총 2개 동이 건설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2023년 12월 경남도의 디지털 자유무역지역 지정 신청을 시작으로, 2024년 1월 산업통상자원부의 공식 지정을 받았다. 이후 올해 8월 기획재정부에 예타 대상사업으로 신청, 약 3개월 만에 심사를 통과했다.
■ 본격 예타 착수 및 추진 일정
기획재정부는 앞으로 조사 수행기관(KDI 등) 선정과 전문 연구진 구성 등 사전 절차를 거쳐 1~2개월 내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예타는 약 10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경남도는 산업통상부와 창원시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조속한 심의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예타 통과 후에는 산업통상부 주관으로 실시설계 및 인허가 절차를 거쳐, 2029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 수출 중심 경제도시 ‘마산’의 부활 기대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이 조성되면 디지털 전환(DX)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수출 경쟁력 강화가 기대된다”며 “국내 최초 자유무역지역인 마산이 다시금 대한민국 수출 1번지의 위상을 되찾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마산의 산업 기반이 다시 ‘첨단’으로 진화하고 있다. 단순 제조 중심의 산업 구조를 넘어 디지털 전환과 글로벌 수출 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이번 사업은, 지역 균형 발전의 상징적 모델로 자리 잡을 것이다.
[비즈데일리 장대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