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10월 21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시험 재배지에서 ‘국내 육성 골드키위 안정 생산을 위한 현장 평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중앙·지방 연구진과 민간 생산자 등으로 구성된 키위 연구협의체가 함께 참여해, 품질 좋은 국산 골드키위 생산 방안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최근 소비자들의 기호가 신맛이 강한 그린키위보다 당도가 높고 부드러운 맛의 골드키위로 이동함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2000년대 초부터 ‘스위트골드’, ‘감황’ 등 국내 육성 품종 11종을 개발·보급해왔다.
특히 2015년 개발된 ‘감황’ 품종은 현재 42.9ha에서 재배 중이며, 2029년까지 70ha로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평가회에서는 ▲국내 육성 골드키위의 열매 수 관리법 ▲가지치기 방식에 따른 생장·품질 변화 ▲노동력 절감 방안 등이 소개됐다.
연구 결과, 가지(결과지)당 열매 수를 2~3개로 조절할 경우 4개로 조절했을 때보다 상품과율이 2배 이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름 가지치기 시 열매 끝으로부터 잎을 하나도 남기지 않을 경우 노동력은 3분의 1 수준으로 절감되지만, 잎 수 부족으로 인한 광합성 저하로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도 제시됐다.
전지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소장은 “이번 현장 평가회를 통해 연구진과 생산자가 함께 표준화된 골드키위 재배기술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개발된 기술이 신속히 농가에 보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산 골드키위는 수입산에 비해 품질 경쟁력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이번 평가회를 통해 ‘감황’ 등 국내 품종의 생산 안정성과 시장 확대 기반이 강화될 전망이다.
[비즈데일리 이정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