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현장 구조 지원을 위한 기술지원에 총력 대응에 나섰다.
‘울산 화력발전소 붕괴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공동 본부장: 고용노동부 장관·기후환경부 장관)’는 11월 7일 제2차 회의 직후부터 소방청의 안전한 구조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적 자문과 협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사고가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는 붕괴된 상태이며, 양 옆의 4호기와 6호기도 해체 작업으로 구조적 취약성이 높아진 위험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구조대원들의 안전을 확보한 후 구조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정밀한 기술지원과 현장 자문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산업안전보건공단 및 고용노동부 소속 전문가들을 긴급 투입, 11월 7일 오후 2시 현장에서 기술지원회의를 주재하며 붕괴 위험 진단과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보일러 타워 설계도면을 확보해 소방청에 제공, 구조활동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즉시 전달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금은 무엇보다 구조대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요구조자 수습에 집중해야 한다”며
“정부는 범정부 차원의 지원 체계를 가동해 소방청의 구조활동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사고 수습의 핵심은 ‘속도’보다 ‘안전’이다. 정부의 신속한 기술지원과 정보 공유가 인명 피해 최소화로 이어지길 바란다.
[비즈데일리 유정흔 기자]













